Raid 정리
è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이며, 데이터를 나누는 레벨에 따른 저장 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전체적인 성능 향상 등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. 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로 묶어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작동하게 된다.
구분 |
Raid 0 |
Raid 1 |
Raid 3 |
Raid 4 |
Raid 5 |
Raid 6 |
Raid 7 |
구조 |
Striping |
Mirroring |
Parity |
Parity |
Parity |
Parity |
Parity |
최소 디스크 |
2 |
2 |
4 |
4 |
3 |
4 |
5 |
데이터 보호 |
X |
단일 드라이브 |
단일 드라이브 |
단일 드라이브 |
단일 드라이브 |
2 드라이브 |
2 드라이브 |
용량 활용 |
100% |
50% |
75% |
75% |
67%~94% |
50%~88% |
|
읽기 성능 |
High |
High |
|
|
High |
High |
Very High |
쓰기 성능 |
High |
Medium |
|
|
Low |
Low |
High |
용량 계산 |
디스크 수*용량 |
(디스크/2)* 용량 |
(디스크-1)*용량 |
(디스크-1)*용량 |
(디스크-1)*용량 |
(디스크-2)*용량 |
|
Raid Level별 장단점
1) Raid 0
장점: 읽기/쓰기 성능 매우 빠르며, 데이터는 여러 개의 spindles로 스토리지에서 읽고 쓴다. 디스크를 추가할수록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.
단점: 드라이브 하나가 고장 나면 복구가 불가하다.
2) Raid 1
장점: 드라이브를 미러링 하기 때문에, 고장이 나도 복구가 가능하다. 읽기 성능은 단일 드라이브의 읽기 성능과 동일하거나 더 좋다.
단점: 각 드라이브가 미러링 되기 때문에 전체 용량의 절반 가량 밖에 사용할 수 없고, 동일한 데이터를 2번 써야하기 때문에 쓰기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.
3) Raid 3
장점: 하나의 드라이브가 고장 나도 복구가 가능하다. 데이터가 바이트 단위로 모든 디스크에 균등하게 나누어 저장하기 때문에 순차적 쓰기 및 읽기 성능이 우수하다.
단점: 패리티를 저장하는 전용 디스크를 갖기 때문에, 해당 디스크가 고장 나면 다른 디스크 복구 필요 시 지원이 불가하다. 랜덤 쓰기 성능이 나쁘다.
4) Raid 4
장점: 하나의 드라이브가 고장 나도 복구가 가능하다. 모든 파일이 블록으로 나누어 여러 디스크에 저장하기 때문에 Block Read 성능이 우수하다.
단점: 쓰기 성능을 떨어진다.
Raid 0+1
1) Raid 0: 디스크를 스트라이핑(Stiping) 방식으로 구성한다.
2) Raid 1: Raid 0로 구성한 디스크 집합을 미러링으로 구성한다.
Raid 1+0
1) Raid 1: 디스크를 미러링으로 구성한다.
Raid 0: 미러링 된 디스크를 스트라이핑으로 구성한다.